7일 전라감영 재창조 복원 기념식 개최

【전주=코리아플러스】 원지연 기자 = 조선왕조 500년 동안 전북과 전남, 제주를 관할했던 전라감영이 한국전쟁 때 폭발로 완전히 사라진 지 약 70년 만에 위풍당당한 옛 모습을 되찾고 있다. (사진=전주시)

【전주=코리아플러스】 원지연 기자 = 조선왕조 500년 동안 전북과 전남, 제주를 관할했던 전라감영이 한국전쟁 때 폭발로 완전히 사라진 지 약 70년 만에 위풍당당한 옛 모습을 되찾았다.

【전주=코리아플러스】 원지연 기자 = 전주시와 전라북도, 전라감영 복원 재창조위원회(위원장 이명우)는 7일 전라감영에서 김승수 전주시장, 송하진 전북도지사, 김영록 전남도지사, 송지용 전라북도의회 의장, 강동화 전주시의회 의장, 진교훈 전북경찰청장, 김정렬 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 이정린 전라북도의회 문화건설안전위원장, 김승섭 전주시의회 문화경제위원장, 이재운 전라북도 문화재위원장, 최기영 국가무형문화재 대목장, 이명우 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라감영 재창조 복원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사진=전주시)

전주시와 전라북도, 전라감영 복원 재창조위원회(위원장 이명우)는 7일 전라감영에서 김승수 전주시장, 송하진 전북도지사, 김영록 전남도지사, 송지용 전라북도의회 의장, 강동화 전주시의회 의장, 진교훈 전북경찰청장, 김정렬 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 이정린 전라북도의회 문화건설안전위원장, 김승섭 전주시의회 문화경제위원장, 이재운 전라북도 문화재위원장, 최기영 국가무형문화재 대목장, 이명우 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라감영 재창조 복원 기념식을 개최했다.

‘찬란한 꽃, 천년의 열매, 전라감영’을 주제로 열린 기념식은 1884년 전라감영을 다녀간 미국대리공사 조지 클레이튼 포크 (George Clayton Foulk, 1856-1893)의 사진 속에 담겨진 승전무(국가무형문화재 21호)와 전라감사 교대식 공연으로 시작됐다.

이어 복원사업 경과보고와 기념사, 환영사, 축사, 희망보감 전달식, 현판 제막식 등이 이어졌으며, 행사에 참석하지 못한 정세균 국무총리와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은 영상으로 축하 인사를 전했다.

부대행사로 한국국토정보공사는 전라감영을 지켜온 회화나무 씨앗과 전라감영 흙을 드론 3대에 매달아 동학농민혁명 발원지인 정읍, 고창과 6·25 전쟁 피해 지역인 남원, 전북의 새로운 미래인 새만금으로 날려 보내는 등 전주 정신을 전파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또한 전라감영 청소년 문화유산 해설사들은 복원 현장 구석구석을 돌아보는 현장투어를 했다. 조선왕조 500년 동안 전라도를 관할했던 전라감영은 1951년 한국전쟁 중 폭발사고로 완전히 사라졌고, 이듬해 전북도청사가 지어졌다. 전라감영 이전 논의는 도청사 이전 계획이 확정된 1996년부터 시작됐다.

전주시와 전북도는 2017년부터 총사업비 104억 원을 투입해 구도청사를 철거하고, 동쪽 부지에 선화당 및 관풍각, 연신당, 내아, 내아행랑, 외행랑 등 7개 핵심건물을 복원했다.

폭발사고로 사라진 전라감영이 약 70년 만에 전라도를 통치했던 옛 위용을 되찾은 것이다. 이날 기념식은 코로나19 여파로 행사 규모가 최소화됐으며, 유튜브 라이브로 생중계됐다.

시는 전라감영 서쪽 부지 등에 대한 2단계 복원을 검토 중이며, 활용방안이 정리되기 전까지는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비할 방침이다.

복원된 전라감영은 당초 기념식을 기점으로 민간에 개방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추후 개방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