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코리아플러스】 장영래 기자 = 세월호 사건과 코로나19사태를 거치면서 공정여행은 수요급감으로 실패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디지털 관광 콘텐츠 개발을 통한 글로벌여행전략에 나서고 있다. 대전시 내 일부 기초자치단체에서 적용한 도농교류법에 근거한 '공정여행'을 도입한 여행정책은 공허한 외침으로 실패할 것으로 예상한다. 오히려 도농교류를 방해 할 것으로 보인다. 

한남대학교 '마켓3.0을 활용한 지역축제활성화'라는 제목의 필자의 석사논문과 충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지역개발공학 5학기 과정을 통해 지난 2016년부터 충북농촌체험휴양마을협의회 사무국장들과 함께한 연구 활동이 근거임을 밝힌다. 충청광역권 농어촌체험휴양마을은 세월호 사고이후에 국토균형발전법과 도농교류법 기반으로 농어촌관광콘텐츠를 개발하려 노력해 왔지만, 코로나 19 사태이후 국내여향 수요는 급감했다. 공정여행을 내세운 농촌관광사업 사업은 코로나 19 이후 해외여행이 불가능한 시점이라 국내여행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농촌체험휴양마을의 시설 노후화, 양적 성장 대비 질적 서비스의 낙후, 관광객이 만족할 만한 콘텐츠의 부족 등 농촌체험휴양마을의 수용태세는 고객의 니즈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렇게 변화된 시기에 해외여행 수요를 농촌관광으로 유입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뿐 아니라 코로나 19 이후 변화되는 여행패턴에 대응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례 수집, 분석을 통해 코로나 이후 농촌체험휴양마을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굴하고 디지털사회와 인구감소를 맞아 적용 가능한 방안을 찾았다. 국토균형발전법과 도농교류법은 지난 1960년대를 전환점으로 해 국토개발을 국가의 중요정책으로 추진됐다. 제도적으로는 1963년에 제정한 국토건설 종합 계획법이 모체가 돼 체계적인 국토개발이이루어지게 됐다. 산업입지와 생활환경의 적정화를 기함으로써 국토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발전을 이룩해 국민의 복리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이다.

국토건설종합계획이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할 사업의 종합적이고 기본적인 장기계획을 말한다. 여기에는 토지·물·기타 천연자원의 이용·개발 및 보전에 관한 사항, 수해·풍해 기타 재해의 방제에 관한 사항, 도시와 농촌의 배치 및 규모와 그 구조의 대강에 관한 사항, 산업입지의 선정과 그 조성에 관한 사항, 산업발전의 기반이 되는 중요 공공시설의 배치 및 규모에 관한 사항, 관광에 관한 자원과 기타 자원의 보호·시설의 배치 및 규모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된다. 도시와 농촌의 교류를 통한 농업, 농업유통을 관광산업으로 연계한 정책이다. 이러한 도시와 농촌의 교류를 통한 공정여행은 이제 보편화 됐다. 하지만 디지털 사회를 맞아 이에 대한 전략을 글로벌 콘텐츠개발을 위한 정책들의 개발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농 교류을 위한 공정여행을 도시 내에 적용한 사례는 예산낭비 정책이다. 농촌체험휴양마을도 이제 디지털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각 마을의 특성을 이용한 글로벌 디지털 관광 콘텐츠 개발을 통한 글로벌여행을 연구하고 있다. 이에 대전시 내 공정여행 정책을 실시하는 일부 기초자치단체의 여행정책은 공허한 외침으로 실패할 것으로 보인다. 진정한 의미의 도농교류를 퇴색시키는 정책이다.

저작권자 © 코리아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