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자체 플랫폼 활용해 한식산업화에 대한 인식 조사, 아이디어 수렴

<그림1> 한식 세계화 현황에 대한 국민 인식(%)

【서울=코리아플러스】 진명현 장영래 기자 = 설문조사 응답자 4명 중 1명만이 ‘한식(韓食) 산업화’가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응답자 대다수가 한식이 ‘하나의 산업으로서 국가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생각하지만, 한식이 산업적 성공을 거두는 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이다.

대한상의, 한식산업화에 대한 인식 조사... 한식, 국제적 인기 있지만 산업 구조 형성은 아직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지난 9월 1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자체 플랫폼을 활용해 ‘한식산업화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한 후 그 결과를 발표했다. 총 182명의 참여자가 한식산업에 대한 인식 조사와 한식산업화 아이디어 응모에 참여했다.

우선, 응답자들은 한식이 국제적으로 인기 있는 음식으로 자리매김 했다고 평가했다. ‘한식의 세계화(국제적 인기)가 어느 정도 성공했냐’는 질문에 과반수가 넘는 수가 긍정응답(잘함(42.1%), 매우 잘함(8.6%))을 보냈다. 최근 뉴욕, 파리, 상하이 등에 한식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이 인기를 끌고 있고, 만두, 라면 등 한식 제품의 수출량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등의 성과가 반영된 결과이다.

반면, 한식의 산업화에는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는 인식이 다수였다. 응답자들은 ‘한식의 산업화(산업구조 형성)가 어느 정도 성공했냐’는 질문에는 1/4만이 긍정응답(잘함(20.4%), 매우 잘함(5.3%))을 보냈다. 한식의 국제적 인기와는 별개로 한식을 통한 밸류체인 및 산업 구조 형성에는 아쉬움이 있다는 평가다. 한식의 세계화와 산업화를 구분하고, 한식을 산업화하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한 이유다.

또한, ‘한식산업화가 향후 국가발전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냐’는 질문에 응답자 대다수는 중요하다는(긍정응답 90.8%(중요 26.3%, 매우 중요 64.5%) 평가를 내렸다. 한식산업이 향후 국가발전에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음을 대다수가 동의하였다.

응답 참여자들, “한식에 대한 홍보 늘리고, K-food에 웰빙∙건강식, 젊고 힙한 이미지 입혀야”

해외에서 한식의 산업화가 미진한 이유(중복 응답 가능)로는 ‘한식에 대한 인식과 홍보 부족’(48.3%), ‘명칭 및 조리법 비표준화’(46.7%), ‘해외에서의 식재료 수급 어려움’(33.5%) 등이 꼽혔다. 특히, ‘한식의 브랜딩, 스토리텔링의 부족’, ‘전통 한식이 가지는 구식(舊式)의 이미지’에 아쉬움을 표하며, 한식을 국제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브랜딩, 이미지의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식이 대외적으로 추구해야할 이미지가 무엇이냐’는 질문(중복 응답 가능)에는 ‘건강식, 웰빙으로서의 이미지’(69.1%), ‘젊고 힙한 이미지’(42.1%), ‘고급스럽고 정적인 이미지’(41.4%), ‘매운맛 등 특색있는 이미지’(20.3%)가 선호되었다. 김치, 비빔밥 등 전통 한식이 가지는 건강, 웰빙으로의 이미지에 더해, 최근 유행하는 코리안 바비큐, 치맥, 포차 문화 등 젊고 힙한 이미지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응답이다.

이에 대해 한식진흥원 김보석 팀장은 “과거 일본, 태국 등은 자국 음식에 대한 명확한 이미지를 형성해 산업화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면서 “한식 역시 어떤 브랜딩과 이미지를 입혀서 국제적으로 인식되게 할 것이냐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실제, 일식은 스시나 회 등의 날 음식이 처음엔 외국인들로부터 외면 받았지만, 고급화 전략을 표방하여 글로벌화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 정부와 민간기구의 위생관리기술 및 조리기술 보급 사업을 통해 청결하고, 고급스러운 음식으로의 브랜딩에 성공한 것이다. 한편, 태국의 경우 ‘Kitchen of the World’라는 세계화 추진 프로젝트를 통해 고객 친화적이고, 저렴한 대중음식으로서의 이미지를 형성한 경험이 있다.

한식산업화 위한 국민 아이디어엔 ‘외국인 한식전문인력 양성방안’, ‘해외 K-food 공유주방’ 등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한식산업화를 앞당기기 위한 국민들의 아이디어 공모전도 병행됐다. 접수된 아이디어를 분석한 결과 ‘한식 레시피 표준화 및 규격화 방안’(20여건), ‘인력 양성 방안’(20여건), ‘음식 수출 아이디어’(10여건), ‘한식 홍보방안’(10여건), 한식산업과 관련된 ‘데이터 수집 방안’ 등이 주를 이뤘다.

상의는 학계, 유관기관 등의 전문가 심사를 거쳐 최우수상으로 ‘외국인 한식전문인력 양성방안’을, 우수상으로 ‘소자본 프랜차이징의 해외 진출 방안’을 선정했다. 최우수상에 선정된‘외국인 한식전문인력 양성방안’은 진정한 의미의 한식산업화를 위해서는 외국인들의 현지 한식당 창업이 늘어나야함을 역설하며, 해외에 한식전문 교육기관 설립 등을 제안했다. 우수상에 선정된‘소자본 프랜차이징의 해외 진출 방안’은 국내에서 과포화된 외식업 자영업자에게 해외 진출을 위한 혜택을 제공하여, 한식 자영업자의 활동의 장을 국외로 늘려나가자는 취지이다.

최우수상에 선정된 정현우(58세, 서울 송파 거주)씨는 “대한상의의 국가발전 프로젝트를 TV로 시청하며 한식 산업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며 “한국인들이 국내에서 쌀국수집, 피자집을 차리는 것처럼 해외에서도 현지인들이 쌈밥집, 비빔밥집을 차려야 진정한 의미의 한식산업화가 되는 것이라 생각했다”고 전했다. “이번 프로젝트에 최우수작으로 선정된 것을 계기로, 해외 현지에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밝혔다.

이외에도 해외 한식산업 확산을 위한‘K-food 공유주방 개소’, 한식 저변 확대를 위한 ‘명품 장류 판매장 개소’등의 아이디어도 수상에 성공했다. K-food 공유주방 개소는 해외에 있는 문화원 등 재외공관에 공유주방을 만들어 한식 창업을 지원하자는 아이디어이고, 명품 장류 판매장 개소는 된장, 고추장 등의 한식 전통 소스의 해외 보급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개설한다면 한식의 저변이 확대될 것이라는 의견이다.

대한상의 국가발전팀 강민재 팀장은 “국가발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국민들께서 식자단원이 되어 직접 한식산업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진해주셨다”며 “향후 해당 아이디어들이 실현될 수 있도록 ➀전문가를 통해 국민 아이디어 선정작의 사업 타당성 분석을 진행한 후 ➁자문단과 사업방향을 결정하고 ➂정부 건의, 유관기관과의 공동 사업 추진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 밝혔다.

저작권자 © 코리아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