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연 의원"1058명 카톡 권리당원명부 문자메시지" 공개

【대전=코리아플러스】강경화 기자 = 대전시의회 김소연 의원이 대전의 시민의 대변자들인 시민단체가 고소·고발은커녕 침묵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무소속 대전시의회 김소연 의원은 16일 대전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지방선거에서 선거 캠프에 같이 있던 사람들이 카톡으로 1058명의 권리당원이 들어있는 문서를 주고받은 메시지가 있는 사진을 공개했다.

김소연 의원(무소속·서구6)은 이에 "지난 대전시장 후보경선 당시 권리당원명부가 유출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변모 씨(구속기소)로부터 압수한 증거 중에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주소, 추천인1, 추천인2 라고 적힌 파일이 있었다"고 근거를 제시했다.

이어 "당원명부가 대전시장 후보경선에 사용된 것을 보았다"며 "당시 서구청장이 추천인으로 들어간 권리당원 명부였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시민단체가 시민의 대변자들이 고소·고발은커녕 침묵만 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대전의 진보시민단체를 포함한 시민단체는 불법선거 개입에 대한 김소연 의원의 폭로에도 침묵했다.

 

김소연 의원은 '신데렐라' 관련 인격 비하발언에 대해서도 여성단체를 포함한 대전시민단체는 침묵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인간의 존엄을 기초로 하는 인권은 남성과 여성을 평등하다고 법과 제도화 됐다. 여성의 생명은 귀중하고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조선시대까지 선거권도 없던 조선의 여성은 이성과 자율성을 존엄한 인간으로 인권을 가지고 있기에 이제 대한민국의 여성으로 정치·행정, 사회·문화, 경제·산업, 교육·과학 분야에서 자유롭게 남성들에게 차별받지 않고 그 권위를 평등하게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여성의 권위구체화한 미투 운동(영어: Me Too movement)은 미국에서 시작된 성폭행이나 성희롱의 발생되는 것을 청산하기 위한 해시태그 운동으로 구체화 됐다. 지난 2017년 10월 할리우드 유명 영화제작자인 하비 와인스틴의 성추 문을 폭로하고 비난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 해시태그(#MeToo)를 다는 행동에서 출발했다. 2017 년 10 월 소셜 미디어에 해시 태그(#MeToo)를 다는 것을 통해서 성폭행이나 성희롱이 직장 및 사업체에서 발생하는 것을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입증하기 위해서 특히 많이 퍼졌다. 해시태그 캠페인은 사회 운동가 타라나 버크가 사용했던 것으로, 알리사 밀라노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밀라노는 여성들이 트위터에 여성혐오, 성폭행 등의 경험을 공개해 사람들이 이러한 행동의 보편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독려했다.

 

이후, 수많은 저명인사를 포함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그러한 경험을 밝히며 이 해시태그를 사용했다. 이후 이러한 운동은 전 세계적으로 퍼지게 됐다. 한국에서도 2018년 1월 29일 현직 검사 서지현이 JTBC 뉴스 룸에 출연해 검찰 내의 성폭력 실상을 고발하면서 미 투 운동을 촉발시켰다. 연극연출가 이윤택에게 성추행을 당했다는 고발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널리 퍼지면서 '위력에 의한 성폭력' 피해 고발 움직임이 대한민국을 강타했다. 이후 시인 고은, 극작가 오태석, 이윤택, 배우 조민기, 배우 조재현, 정계인사 안희정, 정봉주 등 가해자로 지목된 인물은 20여 명으로 늘어났다. 서지현의 실상 고발이 한 달이 지난 2018년 3월에도 각계각층으로 미투 운동이 확산됐다. 3월 2일에는 첫 구속 사례가 나왔다. 미성년자 단원을 성폭행한 혐의로 극단대표 조증윤이 구속된 것이다. 충청남도 수행비서인 김지은 씨가 안희정 지사로부터 성폭행을 당했다고 2018년 3월 5일 JTBC뉴스룸에서 언급했다.

 

2018년 2월 26일 문재인 대통령이 "미투 운동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며, "피해 사실을 폭로한 피해자들의 용기에 경의를 표하고, 미투 운동을 적극 지지한다"고 자신의 의사를 밝히고 "피해자들의 폭로가 있는 경우 형사고소 의사를 확인하고, 친고죄가 폐지된 2013년 6월 이후의 사건은 고소 없이도 적극 수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정부는 분야별 신고상담센터를 운영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체계도 없고 전문상담원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관련 대책에 대한 예산도 없이 발표한 대책이라 제대로 진행될지 여부가 불투명하다.

 

저작권자 © 코리아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